http://koreatta.sports.or.kr/info/info_03_03.jsp
 | Advice | 조언 | All Round Player | 다양한 기술과 전술을 구사하는 선수 | Amateur Player | 생활 탁구 동호인 | Anti-spin Rubber | 회전이 걸리지 않는 러버 | Appeal | 이의 제기 | Arena | 경기장 | Asian Junior and Cadet Championships | 아시아 주니어&카데트 챔피언쉽 | Association | 협회 | Assistant Coach | 보조 코치 | Assistant Umpire | 부심 | Athlete | 선수 |
|
|
 | Backhand Drive | 백핸드 기본 타법 | Backhand Top spin | 백핸드로 전진회전을 거는 타법 | Backhand Stroke | 백핸드 방향에서 치는 것 | Backhand Service | 백핸드 쪽에서 넣는 서브 | Back Side | 탁구대 위 영역의 한 부분 | Back Swing | 공을 치기 전, 라켓을 뒤로 빼는 동작 | Ball | 무게 2.7g, 지름 40mm, 흰색 혹은 오렌지색의 플라스틱 공 | Ball Kid | 경기를 신속하게 운영하기 위해 공을 줍는 아이 | Ball Person | 경기를 신속하게 운영하기 위해 공을 줍는 사람 | Basic Technique | 기본기술 | Balance | 균형 | Best of 5 | 5전 3선승제 매치 | Best of 7 | 7전 4선승제 매치 | Block | 상대가 강한 스매시나 강한 회전구로 공격해 올 때 전진에서 방어하는 기술 | Blade | 블레이드(러버를 부착하지 않은 나무판) | Body Work | 몸의 움직임 |
|
|
 | Cadet Championships | 일반적으로 15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를 말함(참가하는 대회의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 Call Area | 경기 전 선수들의 준비상황을 체크 하는 곳 | Center Line | 중앙선. 복식경기 시, 서브 넣는 구역을 위해 탁구대 윗면 중앙에 그어 놓은 선 | Champion Point | 결승전 경기에서의 매치 포인트를 말함 | Chiquita | 치키타(백핸드로 공을 회전시키는 기술의 한 종류) | Chop | 후퇴회전으로 수비수들이 주로 하는 롱 커트 기술 | Chopping Player(Chopper) | 수비 전형의 선수 | Clean Sweep | 전 종목 석권 | Close Stance | 발의 자세가 탁구대 엔드 라인에 대해서 비스듬히 선 자세를 말함 | Colleague | 같은 팀 동료 선수 | Compatriot | 같은 (국가)팀의 동료 선수 | Competition | 대회 | Competition Hall | 경기장 | Counter Attack | 상대의 공격을 되받아치는 것 | Counter Topspin | 상대방의 톱스핀을 톱스핀으로 되받아치는 것 | Course | 공이 진행되는 방향 | Cross | 대각선 방향을 말함 | Cut | 공을 짧게 쳐서 후퇴회전을 만드는 타법(* Push가 정확한 용어로 단계적으로 수정) | Consolation Match | 토너먼트에서 탈락한 선수나 팀을 위해 만든 경기 방식 |
|
|
 | Deciding Game | 승부를 결정하는 마지막 게임으로 예를 들어 best of 5<5전 3선승제> 경기에서 게임 스코어 2대 2 상황에서 5번째 게임을 가리키는 용어 | Defence | 수비 | Defending Champion | 이전 대회의 우승자를 말함 | Defensive Player | 수비 전형 선수(Defender 또는 Defending Style Player라고도 함) | Deputy Referee | 부 레프리 | Dickey | 선수 유니폼에 부착하는 등판 | Doping Control(Doping Test) | 금지약물 검사 | Doubles | 복식경기 | Double Bounce | 같은 코트에 공이 두 번 바운드 된 것을 말함 | Double Hit | 공을 고의적으로 두 번 쳤을 때를 말하며 이럴 경우 실점이 됨 | Doubles Partner | 복식 파트너 | Draw | 추첨 | Drive | 공을 회전시키는 타법 | Drop Shot | 상대선수가 후진(탁구대에서 떨어져)에 있을 때 네트 앞에 짧게 떨어뜨리는 기술 |
|
|
 | Edge Ball | 탁구대의 상판과 옆면이 만나는 곳에 공이 맞은 것을 말함 | Elite Player | 선수 | End | 탁구에서는 한쪽 코트를 의미하는 데 선수가 경기하는 자리를 말함(서브, 리시브, 그리고 엔드를 정할 때 사용하는 용어) | End Line | 탁구대의 윗면에 가로 방향으로 그어진 줄 | Entry | 출전 선수 | Equipment | 경기를 위해 필요한 장비를 말함 | Exhibition Match | 시범 경기 | Expedite System | 경기 촉진제 |
|
|
 | Fair Play | 정정당당하게 경기하는 것 | Fake Play | 상대가 생각지 못하게 속임수를 이용한 플레이를 말함 | Fault | 규정 위반으로 인한 실점 | Final | 결승전 | Flick | 짧고 낮은 공을 손목을 이용하여 가볍게 치는 것 | Follow Through | 공을 치고 난 후부터의 자연스러운 스윙 상태 | Foot Work | 발의 움직임 | Forehand Drive | 포어핸드 기본 타법 | Forehand Top spin | 포어핸드로 전진회전을 거는 타법 | Forehand Stroke | 포핸드 방향에서 치는 것 | Forehand Service | 포핸드 방향에서 넣는 서비스 | Free Hand | 라켓라켓을 잡지 않은 손 | Full Swing | 팔과 몸 전체로 하는 스윙 |
|
|
 | Game | 11점으로 이루어진 게임 | Game Point | 한 게임의 승부를 결정짓는 마지막 포인트 | Glue | 블레이드에 러버를 붙이는 접착제 | Glue Test | 접착제 유해성 검사 | Grand Slam | 그랜드슬램. 한 선수가 세계탁구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s), 월드컵(World Cup), 그리고 올림픽(Olympic Games)에서 모두 우승한 업적을 말함 | Grip | 라켓을 잡는 형태를 말함 |
|
|
 | Half Court | 탁구대 윗면 중앙선의 좌우 각각의 구역 | Hand on Table | 프리 핸드가 랠리 중에 탁구대 시합 표면에 닿았을 때를 말함 | Head Coach | 감독 | High Toss Service | 공을 높이 던져 넣는 서브를 말함 | Host Country | 대회 주최국 |
|
|
 | Image Training | 기술과 전술을 이미지화하여 익히는 훈련법 | Impact | 공을 치는 순간을 말함 | Individual Event | 개인전(남녀 단식, 남녀 복식, 혼합 복식) | Injury | 부상. 예 neck injury(목 부상), wrist injury(손목 부상) | International Competition | 국제 경기 | Interval | 경기 중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시간적인 간격 | ITTF Challenge ITTF | 주관 챌린지 오픈 대회로 Plus와 Regular로 구분되어 진행됨 | ITTF World Tour ITTF | 주관의 국제오픈 경기로 Platinum과 Regular로 구분되어 진행됨 |
|
|
 | Junior Championships | 일반적으로 18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를 말함(참가하는 대회의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
|
|
 | Knuckle | 무회전 |
|
|
 | Lobbing(Lob) | 탁구대에서 떨어져 공을 높이 올리는 기술(* 단계적으로 수정) | Left-handed Player | 왼손잡이 선수 | Left Spin | 죄회전(공을 치는 사람의 왼쪽으로 공이 돌아가는 것) | Let | 경기 중이 아닌 상황을 가리키는 용어로 ITTF 규정집에서는 ‘득점하지 못한 랠리’로 정의하고 있음 | Loop Drive(Forehand Loop, Backhand Loop) | 공의 옆면(3시 지점)을 최대한 마찰시켜 강한 전진회전을 거는 기술 | Love All | 00이라는 의미로 게임 시작 시에 하는 심판의 구호 |
|
|
 | Match | 단체전이나 개인전에서 홀수전 게임을 묶어서 매치라고 함(예를 들어 5전 3선승 또는 7전 4선승제 매치) | Match Point | 매치가 끝나기 직전, 최후의 1점을 말함 | Main Draw | 본선 경기 | Men’s Doubles | 남자 복식 경기 | Men’s Singles | 남자 단식 경기 | Men’s National Team | 남자 국가대표팀 | Men's Team Event | 남자 단체전 | Middle | 탁구 윗면의 중앙 또는 경기자의 몸쪽을 말함 | Misbehavior |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동 | Mixed Doubles | 혼합 복식 | Mixed Nationality Team | 다른 나라 선수들과 짝을 이룬 팀 | Moved Table | 탁구대를 움직였을 때를 말하며 실점이 됨 | Multi-ball System | 다수의 공(보통 20개 이상)을 사용하여 경기하는 방식(매 포인트마다 부심이 선수들에게 공을 던져 줌) | Multi-ball Training | 볼박스 훈련 |
|
|
 | National Team | 국가대표팀. National Squad라고도 함 | National Team Head Coach | 국가대표팀 감독 | National Association | 국가별 협회. 예를 들면 KTTA(대한탁구협회), CTTA(중국탁구협회), JTTA(일본탁구협회) 등 | Net Assembly | 네트를 구성하는 모든 장비를 말함(네트, 지주, 죔쇠 등). 길이는 183cm이고 높이는 15.25cm임 | Net-cord Service | 서비스 시에 공이 네트에 닿은 경우 |
|
|
 | Obstruction | 경기 중 방해하는 행동이나 방해물(예를 들어 공이 선수에 의해 방해받았을 경우) | Official Ball | 공인구 | Open Hand Service | 손바닥을 펴고 넣는 서브 | Open Stance | 평행으로 서 있는 발의 자세 | Opponent(Opponent Player) | 상대 선수 |
|
|
 | Point | 경기에서의 득점. 또는 시드배정을 위해 받는 포인트를 말함 | Pair | 복식에서의 한 조 | Partner | 복식에서의 파트너 | P-Card | 예비 엔트리 | Penalty | 벌점 | Penhold Grip | 라켓을 펜을 쥐듯이 잡는 그립 방법 | Playing Surface | 시합 표면 | Preliminary Round |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 토너먼트 | Practice Hall | 연습장 | Proceedings | 예선, 본선, 8강, 4강, 결승 등의 대회 진행 과정 |
|
|
 | Qualifying Stage | 예선경기 | Quarterfinal | 8강 |
|
|
 | Racket | 라켓 | Racket Control | 라켓 검사 | Racket Covering | 블레이드에 붙이는 러버 | Racket Hand | 라켓을 잡은 손 | Rally | 공이 경기 중에 있는 상황을 말함 | Receive | 서브를 받는 것. 제2구 | Receiver | 서브를 받는 사람 | Referee | 레프리(심판장) | Return | 상대의 공을 되받아 치는 것 | Right-handed Player | 오른손잡이 선수 | Right Spin | 우회전(공을 치는 사람의 오른쪽으로 공이 돌아가는 것) | Round of 32 | 32강전 | Round of 16 | 16강전 | Round Racket | 원형 라켓 | Rule | 규칙 | Runner up | 2위 입상자를 말함. Finalist라고도 함 |
|
|
 | Sandwich Rubber | 스펀지와 핌플러버를 인 또는 아웃으로 붙인 것 | Server | 서브를 넣는 사람 | Service | 제1구 | Seed | 시드(경기운영 상의 대진표 자리 배정) | Score Sheet | 점수 기록지, 경기 결과 기록지 | Semifinal | 준결승전 | Shake Hand | 라켓을 악수하듯 잡는 방법 | Short | 탁구대 안에 떨어지는 짧은 볼을 의미 | Side Line | 시합 표면 위에 흰색으로 그어 놓은 2cm 너비의 세로 라인 | Side Spin | 횡회전(공의 측면에 회전을 거는 타법) | Singles | 단식 경기 | Sky Service | High Toss Service와 같음 | Soft Rubber | 연질 러버 | Smash | 강하게 치는 타법 | Spin | 공의 회전 | Stance | 발의 자세 | Step Back | 발을 뒤로 빼는 동작 | Straight | 직선 코스 | Stop Short | 공이 앞으로 나가지 않게 짧게 치는 타법 | Stroke | 공을 치는 것 | Stroke Counter | ‘경기 촉진제’ 시행 시 리시빙 개수를 세는 사람 | Style | 전형(선수들만의 고유한 플레이 방식) | Stretching | 경기 전/후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준비 및 정리 운동 | Swing | 공을 치는 모양 |
|
|
 | Table | 탁구대. 길이 274cm, 너비 152.5cm, 높이 76cm의 사이즈로 함 | Tactics | 전술 및 전법 | TBD | ’To Be Decided‘의 약어로 확정되지 않은 모든 경우를 말함 | Team Event | 단체전 | Technique | 기술 | Time Out | 매치 중에 선수나 코치가 휴식 혹은 작전 지시를 위해 갖는 최대 1분 동안의 시간 | Tomahawk Serve | 토마호크 서브 | Top Spin | 공의 윗면에 회전을 주는 타법 | Top Seed | 1번 시드 | Toss Tack | 서브나 리시브 그리고 엔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심판이 사용하는 도구(단 네트에 닿은 것을 제외하고는 올바른 서브여야 함) | Toweling | 양쪽 선수가 득점한 점수의 합이 6의 배수일 때 땀을 닦도록 허용되는 시간 | Triple Champion | 3관왕(한 대회에서 단식, 복식, 혼합 복식을 모두 우승한 선수를 말함) | TTR(Table Tennis Review) | 경기의 판정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
|
|
 | Umpire | 주심 | Upcoming | 토너먼트 대진표 상의 선수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진표에 ‘Upcoming’으로 표기됨 |
|
|
 | Vertical | 수직의 방향(서비스 시에 선수가 공을 수직에 가깝게 던져야 함) | VOC Test | 휘발성 유기 복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테스트로 라켓 컨트롤 시에 러버의 유해성 테스트 |
|
|
 | World Champion |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우승자 | World Junior Championships |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 | World Rankings | 세계랭킹 |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 세계탁구선수권대회. 개인 경기(Individual Event)와 단체전 경기(Team Event)가 각각 격년제로 진행됨 | Women’s Doubles | 여자 복식 | Women's National Team | 여자 국가대표팀 | Women’s Singles | 여자 단식 | Wrong Player | 정해진 순서를 어긴 선수(복식 또는 단체전 오더에 적용됨) | Wrong Side | 복식에서 서비스한 공이 왼쪽 하프 코트에 떨어졌을 때 |
|
|
즉 커트나 푸시나 현재로서는 같은 용어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이것이 무난한 방법인거 같습니다.
1. 펀치가 추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 쇼트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롱에 대해선 없습니다.
롱에 대한 것도 추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 루프에 대해선 3시 방향이라는 것이 옆에서 보았을 때를 말하는 모양인데
그렇다면 9시 방향은 안될까요? ^^;;
차라리 공의 등(back?) 부분을 굵어 올린다... 뭐 이런 표현이 어떨까 싶습니다.
백스핀(하회전/후퇴 회전)과 혼동이 올까봐 염려스러웠을 수도 있으나
거기서의 백은 방향에 관한 의미이므로 상관 없을 듯합니다.
*** 사실 탑스핀보다는 포어스핀, 푸쉬보다는 슬라이스가 의미상 더 좋을 듯합니다만
너무나 일반화된 용어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권인 우리가 뭘 어쩔 수는 없을 것같습니다.
2. 쇼트는 짧은 볼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롱은 긴볼이란 뜻을 같게 됩니다 영어에도 롱이란 용어가 있으니 함께 사용해도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롱 서비스, 숏서비스 이런 뜻으로 사용이 되고 있죠. 차후에 롱에 대한 것도 추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 루프에 대해선 3시 방향이라는 것은 옆에서 보았을 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면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9시 방향은 어떨까요? 공의 뒷면 그러니까 상대방에게는 보이지만 본인에세는 안보이는 방향입니다. 공의 9시 방향은 볼 수도 없고 칠 수도 없습니다
4. 탑스핀은 공의 윗부분 그러니까 1~2시 방향을 마찰시켜 전진회전을 넣은 타법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탑스핀은 스핀보다는 속도가 빠른 것이 핵심입니다. 그래서 루프라고 안합니다.
루프는 호선을 그려주는 타법을 의미하는데요. 공의 3시 방향을 강력하게 마찰시켜야 호선이 발생합니다.
탑스핀은 속도가 빨라서 호선이라고 생각할 만한 호선이 그려지지 않습니다
너무들 수고 많으셨고 저도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