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운동 파트너가 도무지 이해를 못하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라켓면이 공을 쳐 내면서 공의 후면을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헤드를 공에다 대고서 밀어버리는 식이 되면 절대로 안됩니다.
그리고
라켓면이 공에 접촉된 상태로서는 도무지 빠져 나올수가 없기에
라켓면에 공이 접촉 될 적에
라켓면으로 탕 ! 소리와 함께
공이 튕겨지는 느낌이 들 정도 공을 충돌 시키면서
라켓면에서 공이 확실하게 분리되어지게 해야만 합니다.
그리고
분리됨과 동시에 라켓면으로 공을 쓸어주듯이 해야 합니다.
뒤에서 앞으로(윗 성분 포함) 직선구간에서 말입니다.
그렇게 해서 공이 완전히 분리가 되면
공은 앞으로
그리고
라켓은
아래에서 위로,
우에서 좌로(오른손 잡이 기준)해서
스윙어의 왼쪽 대각선 방향으로
라켓이 넘어와 지도록 그립쪽을 사정없이 잡아 당기는데
이때
그 직전에
라켓면에 의해서 공이 사정없이 쓸리어 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제 파트너, 라켓으로 공을 제대로 쳐 내는 직선 구간도 제대로 확보하지 않은채로
자꾸만 좌로 돌려 버립니다.
그러니
공의 후면을 치면서 우에서 좌로 해서 라켓면이 빠져 나와주어야 하는데
그런 동작의 첫 단추인 충돌을 제대로 시켜주지도 못하고 있는 바,
첫단추가 잘 못 끼여 졌으니
다음 동작으로 넘어가 질수가 없는 거지요.
공을 라켓면으로 튕겨내지를 못하고
자꾸만
미는 식으로 때려 대고 있는 겁니다.
배구를 안 해 보아서 그런지(짐작임)
토스하는 식으로
라켓면으로 공을 튕겨주면 될 것인데도 그게 안되는 것입니다.
팔꿈치의 탄성,
손목의 탄성 등 신체 부위의 탄성 적 기능의 이용을 전혀 못하고 있다는 거지요.
그러니
동작의 스케일만 크지게 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떻게 이해를 시켜 드려야 할지...
필드에서 공받아주면서 하기엔 그한계가 있을 듯 하네요.
일반적, 탁구장에서 들리는 말들..
''머리는알겠는데 몸이 말을 안듣는다고''
아무리 이론을 주입해도, 나이가 많은 분이면,
더 더욱 몸은 말을 안듣고..
몸이 말을 안들을 나이는 결코 아닙니다.
제가 볼 박스 연습식으로 공을 주었는데도 감을 잘 잡지를 못합니다.
워낙 기본기 없이 마구 쳤왔으니까 이해는 됩니다만
더더구나
탁구 이론에 대하여 전무하니까 아마도 그런가 봅니다만
어쨋든 감을 잡는 부분에 대해서 많이 약한것 같아 보입니다.
아무튼
머리는 알겟는데 이 소 리만 나와도 되겠는데 그 소리 조차 나오질 않으니...
Congratulations! You win the 22 Lucky Point!
동시에 그 기술을 따라할 수 있도록 그 사람에게 딱 맞는 가장 빠른 길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겠지요.